미세먼지 마스크 어떤걸 사야 할까?
마스크의 등급 구별하기
지난 4일 동안 초미세 먼지 때문에 생활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실제 눈으로 초미세 먼지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뿌옇게 보이는 것 만으로도 얼마나 나쁜 상황인지 알 수 있을 정도 이다.
각종 뉴스에서 이야기하는 먼지의 종류도 많이 있어서 어떤 종류의 먼지가 얼마만큼 나쁜지도 알기 쉽지는 않다.
먼지의 종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 이하는 미세 먼지, 2.5㎛ 이하인 먼지는 초미세 먼지로 구분한다.
초미세 먼지는 미세먼지의 4분의 1크기로 아주 작은 먼지로 사람 눈에 안 보인다고 한다.
이 초미세 먼지가 문제 인 것은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페포까지 침투해 심장 질환과 호흡기 질병에 발명 원인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먼지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마스크 착용이 유일하다.
하지만 어떤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지 무수히 많은 검색 결과를 보면서 당황할 수 밖에 없는데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시판되는 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과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인증 기준으로 표시되고 있다.
일반 소비자가 쉽게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인증 기준은 식품의약품 안전처 기준이다.
KF는 Korea filter의 약자이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실험 결과 식약처가 인증한 KF 80 마스크는 1㎛ 이하의 먼지를 80~94%를 걸러냈고, KF 94는 96~100%를 걸러냈다고 한다.
요즘 같은 초미세먼지를 걸러 내기 위해서는 "KF 94"가 더 효과가 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산업안전보건공단 기준이 있다.
이 기준에 따라 볼 수 있는 분류는 방진 마스크에 써 있는 방진 1급, 방진 2급, 방진 특급 등의 분류 명일 것이다.
3M 마스크 분류가 이 기준을 따르고 있는데 이 분류가 산업안전보건공단 기준 이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마스크의 검증을 하고 그 마스크의 성능에 따라 1급,2급,특급으로 분리를 한 것이다.
이 분류에 따른 사용장소 구분은 다음과 같다.
2급은 입자가 굵은 분진 혹은 미스트가 날리는 작업장에서 쓰는 제일 일반적인 마스크이며, 1급은 조금 더 작은 입자 및 미스트, 용접등 금속 관련 작업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1급 마스크의 사용 범위는 용접, 주물, 단조, 주조, 제련, 그라인딩, 센딩, 절단 등 + 2급 마스크가 사용가능한 모든 작업장이라고 보면 되겠다.
즉 2급<1급<특급 순으로 더 강력한 차단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관련 글 보기
2017/05/07 - [모바일] - 공기 오염 확인 어플 추천
'사회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공휴일은 몇일? (0) | 2022.06.17 |
---|---|
정부 보조금 한 곳에서 확인하는 법 (1) | 2021.05.14 |
전동킥보드 개정법을 알아보자 (0) | 2021.05.14 |
금일,명일,작일,익일? 제대로 알고 쓰자! (0) | 2021.04.20 |
개인안심번호를 발급 받자! (0) | 2021.03.01 |
택시에 두고 내린 물건 찾는 방법 (0) | 2021.02.16 |
카카오페이 인증서 다운 & 삭제 하는 방법 (0) | 2020.12.19 |
네이버 인증서 쉽게 다운 받는 방법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