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의 잘못된 사용 방법

Posted by bkryu
2014. 3. 4. 02:44 모바일

QR코드 관련 기사 내용이다. 

QR코드 자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닌게 사실이다. 

하지만, 기사에 나온것과 같이 외부 문화재 설명이나, 관련 동영상을 플레이하고 설명을 하는 모바일 페이지로 바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써 QR코드만큼 좋은 수단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 포털 현황에서 검색을 해서 광고 지나고, 블로그 글 지나고 정작 검색하려고 한 내용을 확인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대비 QR코드로 바로 본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기자가 작성한 내용을 보면 증강현실이나, 페이스북 등의 sns등을 활용한다는 말이나, 홍보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다는 내용은 QR 코드를 어떤 수단으로 이용해야 하는지 모르는 정보 제공자의 무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붐 타고 공공기관 너도나도 도입

홍보 부족·검색도 복잡… 이용자 거의 없어

“QR코드요? 이런 게 있는지 몰랐는데요?”

3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흥인지문 앞. 맑은 날씨에 관광객들이 흥인지문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었지만 정작 흥인지문에 관한 설명을 읽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특히 설명문 하단에 위치한 QR(Quick Response·퀵 리스폰스)코드를 사용해 정보를 얻는 사람은 한 명도 볼 수 없었다. QR코드는 정사격형 모양의 흑백 패턴을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해 관련 동영상이나 사진, 문서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날 흥인지문을 둘러보던 중국인 관광객 왕치제(24·여)씨에게 QR코드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 뒤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자 문화재청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가 화면에 나타났다. 왕씨는 “정보가 많은 것은 좋지만 일일이 접속하는 것은 불편한 것 같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확산과 함께 각종 공공기관에서 도입한 QR코드가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QR코드 홍보가 부족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해 검색만 하면 나오는 정보들을 번거롭게 QR코드로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3일 관광업계 등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2012년부터 문화재 정보를 QR코드를 통해 알리고 있다. 총 1만여점의 지정문화재 가운데 무형문화재 등 QR코드 삽입이 어려운 문화재를 제외하고 약 3000여점에 QR코드를 넣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까지 2800여점의 문화재 안내판에 QR코드를 추가했다.

하지만 실제 문화제 안내 표지판에서 QR코드를 찍어 보는 사람은 드물다. 문화재청 담당자는 “최근 QR코드의 유행이 지나 앞으로 증강현실 등 다른 방법으로 문화재 정보를 알리려 한다”며 사실상 QR코드 사업이 실효성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QR코드 사업에 투입된 비용은 약 500만원으로 비용상 크게 무리가 가는 사업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문화재청 외에도 각 부처나 지자체, 경찰 등도 QR코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되는 경우는 적다. 경찰청의 한 관계자는 “요즘에는 QR코드보다 페이스북 등 SNS를 활용하는 편”이라며 “QR코드 사용자가 적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전에 사용한 사람들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QR코드 활용을 중단했다는 한 홍보업체 관계자는 “QR코드는 유행 중 하나였던 것 같다. 최근 홍보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다고 봐 사용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선형 기자 linear@segye.com

반응형